Spring (53)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spring-boot-devtools Devtoolshtml 파일을 컴파일만 해주면 서버 재시작 없이 View 파일 변경이 가능하다. Devtools 기능Property DefaultsSpring에서 제공하는 thymeleaf는 캐싱 기능을 사용한다. 캐싱이 되면 파일을 수정하더라도 바로 반영되지 않는다. Automatic Restart파일 수정 후 저장을 하면 Classpath에 존재하는 파일의 변경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서버를 restart 해준다.설정을 통해 원하는 디렉토리만 트리거로 설정할 수도 있다.Live ReloadHTML 파일을 수정하기만 해도 자동으로 브라우저가 새로 고침된다.내부적으로 live reload 서버를 두고 브라우저 확장프로그램과 통신하는 방식으로 동작.Global SettingsRemote Application.. [Spring] 웹 개발 방식 스프링 웹 개발 기초웹을 개발하는 3가지 방법 정적 컨텐츠정적 컨텐츠는 파일을 그대로 그냥 고객한테 웹브라우저로 전달해주는 방식MVC와 템플릿 엔진서버에서 변형을 해서 HTML을 바꿔서 내려주는 방식APIJSON 데이터 구조 포멧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서버끼리 데이터들을 통신할 때 정적 컨텐츠 [resources/static/hello-static.html]정적 컨텐츠 입니다.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 정적 컨텐츠 입니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을 친다.내장 Tomcat 서버가 이 요청을 받고, 스프링 .. [Spring] 정적 페이지, 템플릿 엔진 동작 [HelloController]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hello"; } } @getMapping("hello") 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