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53)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DB] 트랜잭션 적용 🪄 트랜잭션 - 적용전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DB 트랜잭션을 사용해서 계좌이체 같이 원자성이 중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어떻게 구현할까? MemberService먼저 트랜잭션 없이 단순하게 계좌이체 비즈니스 로직만 구현@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MemberServiceV1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1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 [Spring DB] DB 락 🔐 DB 락세션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 아직 커밋을 수행하지 않았는데, 세션2에서 동시에 같은 데이터 를 수정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트랜잭션의 원자성이 깨지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세션1이 중간에 롤백을 하게 되면 세션2는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세션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에는 커밋이나 롤백 전까지 다른 세션에 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게 막아야 한다. 세션1은 memberA 의 금액을 500원으로 변경하고 싶고, 세션2는 같은 memberA 의 금액을 1000원으로 변경하고 싶다.데이터베이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락(Lock)이라는 개념을 제공한다.다음 예시를 통해 동시에 데.. [Spring DB] 트랜잭션 🪄 트랜잭션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단순히 파일에 저장해도 되는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바로 데이터베이스는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트랜잭션을 이름 그대로 번역하면 거래라는 뜻이다.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려면 생각보다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예를 들어서 A의 5000원을 B에게 계좌이체한다고 생각해보자. A의 잔고를 5000원 감소하고, B의 잔고를 5000원 증가해야한다.5000원 계좌이체A의 잔고를 5000원 감소B의 잔고를 5000원 증가 계좌이체라는 거래는 이렇게 2가지 작업이 합쳐져서 하나의 .. [Spring DB] 커넥션 풀과 데이터 소스 🛁 커넥션 풀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매번 획득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 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DB 드라이버는 DB와 TCP/IP 커넥션을 연결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3 way handshake 같은 TCP/IP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발생한다.DB 드라이버는 TCP/IP 커넥션이 연결되면 ID, PW와 기타 부가정보를 DB에 전달한다.DB는 ID, PW를 통해 내부 인증을 완료하고, 내부에 DB 세션을 생성한다.DB는 커넥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보낸다.DB 드라이버는 커넥션 객체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이렇게 커넥션을 새로 만드는 것은 과정도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DB는 물론이.. [Spring DB] JDBC 를 이용하여 CRUD 구현하기 🗄️JDBC 등장 이유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중요한 데이터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서버, DB 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음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1️⃣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DB - 일반적인 사용법커넥션 연결: 주로 TCP/IP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연결한다.SQL 전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DB가 이해할 수 있는 SQL을 연결된 커넥션을 통해 DB에 전달한다.결과 응답: DB는 전달된 SQL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응답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응답 결과를 활용한다. 2️⃣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DB - DB 변경 문제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마다 커넥션을 연결하는 방법, SQL을 전달하는 .. [Spring] 로깅 간단히 알아보기 ✍ 로깅 간단히 알아보기운영 시스템에서는 System.out.println() 같은 시스템 콘솔을 사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별도의 로깅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로그를 출력한다. ✅ 로깅 라이브러리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스프링 부트 로깅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logging )가 함께 포함된다.스프링 부트 로깅 라이브러리는 기본으로 다음 로깅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SLF4J - http://www.slf4j.orgLogback - http://logback.qos.ch로그 라이브러리는 Logback, Log4J, Log4J2 등등 수 많은 라이브러리가 있다.그것을 통합해서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이 바로 SLF4J 라이브러리다. 쉽게 이야기해서 SLF4J.. [Spring] 웹 스코프 목차웹 스코프request 스코프 예제 만들기스코프와 Provider스코프와 프록시 웹 스코프싱글톤은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끝까지 함께하는 매우 긴 스코프이고, 프로토타입은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까지만 진행하는 특별한 스코프이다. 웹 스코프의 특징웹 스코프는 웹 환경에서만 동작한다. 웹 스코프는 프로토타입과 다르게 스프링이 해당 스코프의 종료시점까지 관리한다. 따라서 종료 메서드가 호출된다. 웹 스코프 종류 request: HTTP 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각각의 HTTP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session: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application: 서블릿 컨텍스트( ServletCont.. [Spring] 빈 스코프 목차빈 스코프란프로토타입 스코프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Provider로 문제 해결JSR-330 Provider 빈 스코프란?지금까지 우리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 고 학습했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 [Spring] 빈 생명주기 콜백 목차빈 생명주기 콜백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지정 @Bean애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빈 생명주기 콜백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스프링을 통해 이러한 초기화 작업과 종료 작업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아보자.간단하게 외부 네트워크에 미리 연결하는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고 가정해보자. 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문자만 출력하도록 했다.이 NetworkClient 는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connect() 를 .. [Spring] 의존관계 자동 주입 목차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생성자 주입의 장점Lombok 라이브러리@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Primary애노테이션 직접 만들기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땐 List, Map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의존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생성자 주입수정자 주입(setter 주입)필드 주입일반 메서드 주입옵션 처리 1. 생성자 주입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컴포넌트 스캔 => 스프링 빈 등록시점에 생성자 호출 => Autowired 확인 => 생성자 파라미터 타입에 맞는 의존관계 주입 특징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Component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