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CLI 당겨오기 (pull) 두개의 git bash 창을 띄웠고요. 지금부터는 2개의 컴퓨터라고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어떤 원격저장소에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해보았더니 지난시간에 clone 을 해왔기 때문에 같은 원격저장소에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죠? git remote -v 지난번에 clone 하였던 폴더부터 push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같은 내용이면 재미없으니깐 hello1.txt를 수정해보겠습니다. nano hello1.txt backup2라는 내용을 추가하였고요. git의 상태를 물어봐주고 커밋 메세지를 추가해서 Staging Area와 올림의 동시에 커밋을 해줘서 레파지토리에 저장해주었고요. git status git commit -am "backup2" 이제 원격저장소에 올릴려면 어떻게 해야 된다? git pus.. Git CLI 복제 (Clone) 지금까지 저희는 지역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하고 push 해보았죠? (백업) 백업을 했다면 복제를 해야겠죠?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컴퓨터를 마련하고 지금까지 작업했던 것을 복제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살펴볼 것 입니다. 복원을 할 수 있다면 여러개의 컴퓨터의 같은 소스코드의 상태를 유지 할수 있겠죠? 저는 우선 복제를 위해서 clone라는 폴더를 새로 만들었고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총 2가지가 있습니다. Clone: 이미 있는 저장소 사용 Init: 새로운 저장소 사용 저희는 복제를 하려고 하는 것 이기때문에 clone을 사용해보겠습니다. clone을 하기 위해서 먼저 전에 만들어놨던 github의 레파지토리로 가보겠습니다. 이부분을 복사하시면 되겠고요! 다시 bash창으로 가보겠습니다. 새로운 명령어가.. Git CLI 백업 (원격 저장소와 연결) 지난시간에 말했듯 통신에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Http: 보안적으로 조금 부족함 , 조금 불편할수 있음, 배울필요가없음 2.SSH: 보안적으로 훨씬 강력, 훨씬 편리, 배워야할게 많음 저희는 그중에 Http 통신을 사용할 것이고요. 먼저 지역저장소를 마련하셔야겠죠? 저희는 저번에 디렉토리를 만들고 버전관리까지 해봤으므로 이 부분은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아직 처음이다 하신분들은 카테고리 git을 참고해주세요. 지역저장소에 있는 내용을 원격저장소로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저희가 저번시간에 만든 레파지토리를 들어가보시면 저희가 봐야할 것은 빨간 부분이고요. 새로운 명령어가 나왔죠? 우리의 지역저장소에 원격저장소 해당되는 저장소를 연결하는 명령어.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 별명" ".. Git CLI 백업 (repository 생성) 우선 깃은 버전정보를 .git 이라는 디렉토리에 보관합니다. .git을 포함한 프로젝트 디렉토리 전체를 파일저장 서비스에 올려놓으면 완벽한 백업이 됩니다. 그런데 백업을 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자유롭지만 어려운방법 (직접 백업서버를 만든다.) 2. 제한적이지만 쉬운방법 (Git hosting 원격저장소 임대) 이번 시간은 Git hosting을 이용하여 원격저장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간단하게 용어정리를 먼저 하고 가겠습니다. Local Repository: 지역저장소 Remote Repository: 원격저장소 Push: 지역저장소 -> 원격저장소 Pull: 원격저장소 -> 지역저장소 (기존 작업 내용을 유지후 가져오기) Clone: 복제를 하는 과정 (원격저장소 =.. Git CLI 되돌리기(revert) 현재 저희 버전은 총 2개가 있는 상태이고요! 복습겸 2개를 더 추가한 후에 진행해보겠습니다. R3라는 내용을 추가해주시고요! git nano hello1.txt add와 commit을 동시에 진행해주겠습니다. git commit -am "R3" 한번더 R4 라는 내용을 추가해주고 커밋하겠습니다. git nano hello1.txt git commit -am "R4" 로그로 확인해보고 R4를 삭제하고 R3로 돌아가고 싶다고 가정하겠습니다. git log reset의 경우에는 git reset "R3고유값" 을 하게 되면 R3로 가겠죠. 하지만 revert로 R3로 가고싶다면 R4의 커밋 ID를 revert를 해야합니다. revert를 하게되면 commit 메세지를 작성하라고 디폴드로 설정되어있는 에디터가.. Git CLI 버전 삭제 (reset) 이번엔 만들었던 버전을 삭제해보겠습니다. 현재 진행상황은 총 3개의 버전이 있죠? 여러분이 지금 Message3을 지우고 Message2가 되고싶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Message2로 reset을 해야합니다! Message3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Message2으로 reset을 하는겁니다! 아래 Message2의 고유값을 복사하시고요. 이버전을 지울뿐만 아니라 수정하고 있던 것 까지 지우는게 hard 모드이고요! 수정한 것은 남기고 싶다! 그러면 mixed, soft로 변경하시면 된다는점만 알고 있어주세요! git reset --hard " " git log로 확인해보시면 정말로 삭제가 되었고요. 아까 보았던 checkout이랑은 다른 점이 있다고 느끼실 수 있을겁니다. 다음시간은 revert를 사용.. Git CLI checkout (feat.시간여행) 버전관리라고 하는 것은 저희가 파일,문서를 수정할떄마다 의미있는 변경점들을 기록하는 것인데요. 이중에서 제일 중요한 점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로 돌아오는 것이 중요하겠죠? 먼저 돌아가고 싶은 버전 고유값을 복사하고요 " " 부분에 붙여줍시다. git checkout " " 확인을 해보니 저번에 만들었던 hello2.txt도 없어지고 내용도 전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다시 돌아가고 싶다면? git checkout main 잘 돌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겠고요! 이렇게 git에서 과거와 미래를 돌아다니면서 탐색할 수 있다는 점도 git의 매력적인 점 중 하나겠죠? Git CLI 버전간의 차이점 (diff) 지난 수업에 이어서 hello1.txt 파일을 수정해봅시다. nano hello1.txt 저는 4라는 내용을 추가 할 것 이고요. git 상태도 물어봐줘야겠죠? git status 이번엔 새로운 명령어를 쓸건데요. 기대되시죠? git diff 많은 코드들을 수정했다고 했을때 이전 작업했던 내용과 비교해서 마지막 버전과 워킹트리의 차이점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자기성찰과 함께 마지막 고칠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죠? 여기서 만약 내가 수정한 코드가 "이건 아닌데?" 라고 생각되서 되돌리고 싶다면 git reset --hard 이제 사라졌는지 확인을 해봐야겠죠? cat hello1.txt 아까 4라는 내용을 추가하기 전으로 돌아왔습니다. 여기서 "이게 뭐가 필요해?" 라고 하실 수 있지만 코드가 엄청나게 거대.. Git CLI 여러 개의 파일 버전으로 만들기 지난 시간에는 CLI를 이용해 버전을 만드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버전을 만들때 하나의 파일 변경사항이 아니라 보통 작업을할때 여러개의 파일이 수정사항이 생기는 데요. 이번에는 버전을 만들때 여러개의 파일을 버전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nano hello1.txt 3이라는 내용 추가후 Ctrl+X -> Y -> Enter 그리고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줍시다. nano hello2.txt 여기도 똑같이 3이라는 내용을 넣고 나오겠습니다. git의 상태를 물어봐줍시다. 지난 시간에서 봤듯이 Untracked 상태라고 또 떠주었죠? 지금 상황을 정리해보자면 1. 두개의 파일은 Staging Area에 아직 올라가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고 2. hello2.txt는 아직 Untracked 상태이다. 여.. Git CLI 버전관리 지난시간에는 git을 설치했습니다. 아직 git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해당 글을 참고해주세요. git CLI 설치 git CLI로 버전관리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써볼려고 합니다. 개발자 입장에서 CLI로 git을 사용하는 이유에는 1. 자원 효율성 우선 컴퓨터 입장에서 그래픽 기반 입출력 (GUI)을 사용한다는 것은 madeprogame.tistory.com 이제부터는 git에게 어떤 특정한 디렉토리를 버전관리를 하고 싶다고 얘기를 해줄겁니다. 우선은 디렉토리를 만들어야 겠죠? 우선 파일탐색기에 들어가주시고요! 경로는 다르게 해도 괜찮지만 처음해보신다고 하시면 따라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로 이동해줍니다. (자신의 컴퓨터와 다르다면 폴더들을 만들면서 오시면 됩니다)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