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22)
[CS] 인터럽트와 시스템 콜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프로그램이 실행되다가 유저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바뀌고 커널 모드에서 유저 모드로 바뀌기도 한다.간단한 예를 통해서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를 살펴보자. User mode우리가 개발하는 프로그램(작성한 코드)은 일반적으로 유저 모드에서 실행된다.프로그램 실행 중에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하거나 시스템 콜(system call)을 호출하게 되면 커널 모드로 전환Kernel mode나중에 이어서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현재 CPU 상태를 저장함커널이 언터럽트나 시스템 콜을 직접 처리즉, CPU에서 커널 코드가 실행됨모든 처리가 완료되면 중단됐던 프로그램의 CPU 상태를 복원CPU 상태를 복원하게 되면 다시 통제권을 프로그램에게 반환커널(kernel)운영체제의 핵심이다.시스템의..
[CS] CPU bound, IO bound CPU프로세스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 IO(input/output)파일을 읽고 쓰거나 네트워크의 어딘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입출력 장치와 데이터를 주거나 받는 것 버스트(Burst)어떤 현상이 짧은 시간 안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일 CPU 버스트CPU를 사용하는 구간프로세스가 CPU에서 한번에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시간즉,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세스가 자신의 차례가 되서 CPU에서 실행됬을 때 자신의 명령어들이 CPU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시간이다.CPU만 연속적으로 쓰면서 연산을 실행프로세스가 CPU에서 일부 코드를 실행하는 데 소비하는 시간CPU burst는 프로세스의 RUNNING 상태를 처리I/O 버스트I/O를 실행하는 구간프로세스가 IO 작업을 요청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시간프로..
[Network] DNS 도메인 네임 우리가 네이버 웹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하려면 내 컴퓨터에 있는 브라우저가 네이버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에다가 요청을 해서데이터들을 받아와야 한다. 하지만 우리가 전화번호를 이름과 같이 저장하는 것처럼 모든 서버의 IP 주소를 외울 순 없다.도메인 이름의 기본 형식은 이름과 확장자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네이버 같은 경우에는 ‘naver’가 이름이고 ‘.com’이 확장자인 것이다. 이렇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메인은 바로 인터넷 주소이다. IP 주소는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영문이나 한글로된 인터넷 주소인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도메인 네임과 URL의 차이점은?웹 주소라고도 하는 Uniform Resource Locator(URL)에는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 프로토콜, 경로 등의 정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