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61)
Git CLI 백업 (repository 생성) 우선 깃은 버전정보를 .git 이라는 디렉토리에 보관합니다. .git을 포함한 프로젝트 디렉토리 전체를 파일저장 서비스에 올려놓으면 완벽한 백업이 됩니다. 그런데 백업을 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자유롭지만 어려운방법 (직접 백업서버를 만든다.) 2. 제한적이지만 쉬운방법 (Git hosting 원격저장소 임대) 이번 시간은 Git hosting을 이용하여 원격저장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간단하게 용어정리를 먼저 하고 가겠습니다. Local Repository: 지역저장소 Remote Repository: 원격저장소 Push: 지역저장소 -> 원격저장소 Pull: 원격저장소 -> 지역저장소 (기존 작업 내용을 유지후 가져오기) Clone: 복제를 하는 과정 (원격저장소 =..
Git CLI 되돌리기(revert) 현재 저희 버전은 총 2개가 있는 상태이고요! 복습겸 2개를 더 추가한 후에 진행해보겠습니다. R3라는 내용을 추가해주시고요! git nano hello1.txt add와 commit을 동시에 진행해주겠습니다. git commit -am "R3" 한번더 R4 라는 내용을 추가해주고 커밋하겠습니다. git nano hello1.txt git commit -am "R4" 로그로 확인해보고 R4를 삭제하고 R3로 돌아가고 싶다고 가정하겠습니다. git log reset의 경우에는 git reset "R3고유값" 을 하게 되면 R3로 가겠죠. 하지만 revert로 R3로 가고싶다면 R4의 커밋 ID를 revert를 해야합니다. revert를 하게되면 commit 메세지를 작성하라고 디폴드로 설정되어있는 에디터가..
Git CLI 버전 삭제 (reset) 이번엔 만들었던 버전을 삭제해보겠습니다. 현재 진행상황은 총 3개의 버전이 있죠? 여러분이 지금 Message3을 지우고 Message2가 되고싶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Message2로 reset을 해야합니다! Message3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Message2으로 reset을 하는겁니다! 아래 Message2의 고유값을 복사하시고요. 이버전을 지울뿐만 아니라 수정하고 있던 것 까지 지우는게 hard 모드이고요! 수정한 것은 남기고 싶다! 그러면 mixed, soft로 변경하시면 된다는점만 알고 있어주세요! git reset --hard " " git log로 확인해보시면 정말로 삭제가 되었고요. 아까 보았던 checkout이랑은 다른 점이 있다고 느끼실 수 있을겁니다. 다음시간은 revert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