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CLI 설치

쌈뽕코딩 2024. 1. 19. 12:25

git CLI로 버전관리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써볼려고 합니다.

개발자 입장에서 CLI로 git을 사용하는 이유에는

 

1. 자원 효율성
우선 컴퓨터 입장에서 그래픽 기반 입출력 (GUI)을 사용한다는 것은 엄청난 리소스를 소모한다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그래픽이 아니라 명령어로 움직이는 연비 좋은 작업은 명령어 기반 입출력(CLI) 이겠죠?

 

2. 반복 작업 및 다중 작업 처리
GUI 환경에서 작업할때는, 하나의 명령을 클릭하고 다음 명령을 기다렸다가

클릭하는 등 순차적인 방식으로 진행이 되는데요.
그런데 CLI 에서는 특정 명령이 수행된 후 처리될 명령어를 미리 작성하여 한번에 실행시킬 수 있고

자동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자유로운 명령
GUI 환경은 아무래도 개발자가 미리 구축해놓은 기능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CLI 환경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원하는 목적을 표현할 수 있고,

이는 더 많은 기능의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겠죠?

 

이제부터 git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시고 Download for Windows을 눌러줍니다. (mac은 밑에 있는 Mac Build를 이용해주세요)

 

Git

 

git-scm.com

 

그렇다면 다운로드 창이 뜰텐데 각자 사양에 맞는 버전을 다운받아줍시다.

 

설치하고 실행하게 되면 next

 

다음은 git을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정하고 next

이후에 전부 next을 눌러 설치해줍시다.

 

자 인제 검색창에 윈도우 찾기에 git이라고 쳐보면 Git Bash 버튼이 생길 것 입니다.

 

실행해봅시다! 뭔가 해커들이 사용할 것 같이 생기지 않았나요? (터미널창, 콘솔이라고 불립니다)

 

이제 git이 잘 설치됬는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git을 친 후에 엔터눌러지시고요.

 

 

git에 대한 설명들이 쭉 나오면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이렇게 git 설치는 끝이 났고요.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git의 버전관리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