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JSP] JSP 특징, 동작 원리

쌈뽕코딩 2024. 5. 9. 00:33

인터넷과 웹의 개요

인터넷

  •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전세계의 컴퓨터 네트워크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공간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줄임말

 

웹의 동작 원리

  • 웹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동작

가장 널리 쓰이는 웹 서버(웹 컨테이너)

  • 아파치, 톰캣, IIS

 

정적 웹 페이지와 동적 웹 페이지

 

정적 웹 페이지

  • 컴퓨터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그대로 보는 것
  • 예: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동적 웹 페이지

  • 저장된 내용을 다른 변수로 가공 처리하여 보는 것
  • PHP(Personal Home Page), ASP(Active Server Page), JSP

 

정적 웹 페이지의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 요청
  2. 웹 서버가 *.html 파일 검색
  3. 이미 준비된 HTML 문서를 그대로 전달(움직임 X)
  4.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보여줌

동적 웹 페이지의 동작 방식

  1.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 요청
  2. 웹 서버가 요청을 분석하여 처리
  3. 결과를 HTML 문서로 생성
  4. 요청에 맞게 정제된 HTML 문서를 전달
  5. 웹 브라우저가 HTML을 보여줌

 

웹 프로그래밍과 JSP

웹 프로그래밍 언어

  • 클라이언트 측 실행 언어와 서버 측 실행 언어로 구분
  •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JSP는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JSP의 특징

  • JSP는 서블릿 기술의 확장이다.
  • JSP는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 JSP는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 JSP로 개발하면 코드 길이를 줄일 수 있다.

 

JSP 페이지의 처리 과정

  1. JSP 요청(Hello.jsp)
  2. Hello.jsp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JSP 컨테이너가 Hello_jsp.java로 번역
  3. JSP 컨테이너가 컴파일(Hello_jsp.class)되며 확장자가 붙음.
  4. 가공된 HTML 문서 응답(JSP 서블릿 실행 응답)

 

JSP 생명주기

  1. Hello.jsp가 들어옴
  2. 컨테이너가 번역(Hello_jsp.java) 되어 서블릿 파일이 됨.
  3. 서블릿 파일이 컴파일 되면서(Hello_jsp.class) 파일이 됨.
  4. jspInint( )이 로딩 및 초기화
  5. jspService( ) 메서드가 호출되며 실행
  6. 응답(respones)후에 jspDestroy( )로 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