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인스턴스 접속
ssh -i "your-key.pem" ec2-user@your-ec2-public-ip
- "your-key.pem": EC2 생성 시 만든 키 파일
- your-ec2-public-ip: EC2의 퍼블릭 IP 주소
어떤 리눅스 배포판인지 확인해보려면 EC2 접속 후 아래 명령어로 먼저 확인
cat /etc/os-release
✅ Amazon Linux 2인 경우
NAME="Amazon Linux"
VERSION="2"
✅ Ubuntu인 경우
NAME="Ubuntu"
VERSION="20.04.6 LTS (Focal Fossa)"
- 현재 작성글은 우분투 기반 EC2에서 RDS(MySQL)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만약 Amazon Linux 2 라면 앞서 설명드린 yum 명령어 기반으로 진행하면 되고, 나머지 설정은 거의 동일하다. (유저 생성, my.cnf 수정, 포트 개방 등).
1단계: RDS 인스턴스 만들기 (MySQL)
👉 AWS 콘솔에서 RDS 인스턴스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
🧩 RDS 설정 시 중요한 옵션들

- 데이터베이스 엔진: MySQL
- 버전: 최신 안정 버전 선택
- DB 인스턴스 식별자: 예: mydb
- 마스터 사용자 이름: 예: admin
- 비밀번호: 원하는 비밀번호 설정
- 퍼블릭 액세스 허용: ✅ Yes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 VPC 보안 그룹: EC2와 같은 보안 그룹 또는 커스텀
2단계: 보안 그룹 설정 (포트 열기)


- EC2와 RDS가 같은 VPC에 있어야 한다.
- RDS의 보안 그룹 인바운드 규칙에 아래 규칙을 추가하자.
3단계: EC2에 MySQL 클라이언트 설치

sudo apt update
- apt update: 패키지 목록 최신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 불러오기)

sudo apt install mysql-client -y
- apt install mysql-client: MySQL에 접속할 수 있는 도구 설치
- -y: 설치 중 "확인할까요?" 질문 생략
설치가 완료되면 mysql 명령어를 쓸 수 있다.
4단계: RDS에 EC2에서 접속해보기
접속 명령어 형식
mysql -h [RDS ENDPOINT] -u [USERNAME] -p
예시
mysql -h mydb.abc123xyz.ap-northeast-2.rds.amazonaws.com -u admin -p
- -h: RDS 엔드포인트 (RDS 생성 시 확인 가능)
- -u: 사용자 이름
- -p: 비밀번호는 입력 대기 상태가 되니, 그때 입력하세요.
🎉 접속이 성공하면 이렇게 뜬다.

'[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포] 🚀 GitHub Actions + EC2 + S3 + Secrets Manager + CodeDeploy를 통한 무중단 배포 자동화 (0) | 2025.04.07 |
---|---|
[AWS] 🔐 보안 그룹 설정 (0) | 2025.04.05 |
[GitHub Actions] GitHub Actions 명령어 (0) | 2025.03.14 |
[배포] 배포 방식 (0) | 2025.02.04 |
[DevOps] GitHub Actions (0) | 2025.01.18 |